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암을이겨내는방법
- 암완치솔루션
- 마루야마백신요법
- 암미토콘드리아활성화치료
- 암극복솔루션
- 일본암치유연구소
- 암면역치료
- 고정밀 방사선 토모 테라피 & 뷰레이 치료
- 미토콘드리아활성화치료
- 암 완치 통합 치료
- 도쿄 에도가와 병원
- 암 면역치료
- 중입자 치료
- 일본선진암치료
- 콜로이드 요오드 치료
- 일본 면역세포 치료
- 미토콘드리아활성화요법
- 고활성 NK 면역 세포 치료
- 일본면역세포치료 일본중입자치료
- 일본 선진 암 치료
- 암 억제 유전자
- 일본 암 치유 연구소
- 고활성NK세포치료
- 암치료솔루션
- 일본암치료솔루션
- iNKT 세포 표적 치료
- 일본면역세포치료
- 암대체요법
- 암을 이겨내는 방법
- 미토콘드리아 활성화 치료
- Today
- Total
암면역치료/면역세포치료/최고의일본암치료솔루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Jher1/btqZUW5KOiQ/zPEaAgk4ncZUMUrSxajRVK/img.jpg)
암세포는 독이나 약물 배출 능력이 높기 때문에 암세포화함으로 인해 세포내의 정화 능력을 높여준다 1. 암세포는 독이나 약물을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능력이 높다. (정상 세포에 비해 항암제가 잘 듣지 않는 이유) 2. 암세포 안에는 독이나 약물 등의 화학 물질과 결합해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글루타치온이라는 트리펩티드 (글루타민산, 시스테인, 글리신으로 이루어진)의 농도가 높다. 3. 약물이나 독과 통합한 글루타치온(글루타치온 통합물)은 세포막에 있는 전용 펌프 (다제 내성 단백질 - 약물 배출 펌프라고도 함)에 의해 세포 밖으로 배출되고 결국 약물이나 독은 분리되어 담즙이나 소변으로 배설된다. 4. 또한 글루타치온은 자신의 티올기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와 활성 산소를 환원하여 제거하는 역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pA0i/btqZGmw6B8r/baraWOZ9Dn8OCymeoxF1cK/img.jpg)
세포 외부 환경이 악화되면 세포 내부 환경도 악화된다. 암세포화되는 과정에서 오토파지 기능을 강화한다. 1. 세포가 태어나면서부터 부여 받은 자신의 기능을 희생하면서까지 암세포화했던 것은 아주 커다란 문제점의 해소로부터 시작한다. 2. 암세포화하기 직전의 세포내부에는 필요 없어진 단백질과 비정상적인 단백질 그리고 기능이 저하된 미토콘드리아와 혹은 외부에서 잠입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가득하다. 이것들을 오토파지라는 기능을 통해 처리하게 된다. ・오토파지(Autophagy)란? 세포내에 생긴 쓰레기(주로 단백질)를 분해해 재사용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극한까지 높이기 위해서 암세포화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3. 정상 세포가 암세포화 된다는 의미는 정상 세포가 존재하고 있는 장기의 기본 활동을 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FUnD0/btqZrfEGvMs/nyTHZKuxAFY8Kak7BKXMl1/img.png)
한계 상황에 이르면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는 푸마르산 호흡을 한다 1. 산소가 부족하다고 해서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를 버릴 수는 없다. 또한 미토콘드리아도 어떻게든 살아남으려고 노력한다. 그 노력의 하나가 푸마르산 호흡이다. 2. 이 호흡법은 산소가 거의 없는 장(腸)관내에 서식하는 회충 등의 기생충 세포에 있는 미토콘드리아가 이용하고 있는 호흡법이다. 3. "암 세포는 많은 포도당을 소모하기 때문에 우리 몸에서 에너지를 빼앗아 간다" 이런 말을 자주 듣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암세포는 포도당을 절약하기 위해 푸마르산 호흡을 이용한다. 4. 인간의 세포라고 해도 지금까지 생물의 긴 역사에 염기적 상황에 몰린적도 있었을 것이다. 그것을 극복했을 때 얻게 된 유전자를 지금도 보존하고 있을테고 인간의..